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odal #alert #sweetalert #sweetAlert #모달
- REST
- SpringFramework
- CRUD
- Spring
- 비동기
- Boot
- Controller
- paginationInfo
- deferred
- 대댓글
- 외부접속
- egov
- 우리마
- DAO
- Today
- Total
목록WEB/etc (6)
우리마의 웹 개발
이클립스 프로젝트 작업을 할때 화면을 분할하려고 하면 CTRL+SHIFT+[ 또는 CTRL+SHIFT+- 로 창을 나눌수 있긴 하지만 면적이 쫍아서 코드가 잘안보인다거나 하는 불편함이 있어요. 아예 같은 프로젝트 이클립스를 하나 더띄워서 실행하면 이를 해결할 수 있어요. window -> new window 를 클릭 하면 같은 프로젝트 이클립스창이 새로 열리는 마술!
** Eclipse 에서 콘트롤 H 또는 R (CTRL + R , CTRL + H) 로 파일을 찾는데 File Search를 하고, 찾은 내용을 볼 때, 자꾸 한 탭으로만 나와서 불편했다. 처음 search.jsp 페이지의 내용을 찾았다가, 그 다음 research.jsp 페이지의 내용으로 가려고 더블클릭 했더니 기존 탭에 새로고침 되면서 나와버리는 현상! ** 해결 방법 : 메뉴에서 Window - Preferences > General > Search > "Reuse editors to show matches" 체크를 해제 갸꿀~
통계 페이지나 내역 페이지 등을 개발할 때 그래프를 통해 월별 현황, 브라우저별 접속 현황 등 한눈에 볼 수 있는 UI를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그래프 라이브러리 HighChart를 소개 한다. High Chart 라이브러리 다운로드 High Chart 공식 홈페이지 접속
Tomcat으로 웹개발을 할때 서버나 이클립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을때 서버를 다시 시작 하려고 하면 8080port를 사용 하고 있다고 에러가 뜨는 경우가 왕왕 있다. Tomcat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아서 프로세스가 좀비처럼 남아있기 때문이다 이럴때 작업관리자에서도 8080포트를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찾을수 없기 때문에 CMD에서 현재 사용중인 프로세스들 중에서 8080포트를 사용하는 프로세스의 PID를 가지고 종료시키는 명령어를 이용해야한다. netstat -a -o -n 8080포트를 사용하는 프로세스의 PID를 찾았으면 taskkill /F /PID 6028 6028이 PID이다 그러면 프로세스가 종료되었다는 문구와 함께 8080를 사용하는 좀비프로세스가 KILL된다'^'
form태그에 대한 submit이나 화면이동 등등 버튼에 하이퍼링크를 주어서 화면 이동을 해야하는 상황이 꽤 많다. 그럴때 마다 버튼에 대해서 어떻게 값을 세팅 하는것이 가장 효율적인지 고민을 많이 해봤다. 그 중에서도 a태그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화면이동 ajax통신이 아닌 http프로토콜 에서 화면 이동을 하는 경우 라면 화면이동 이렇게 해주어도 썩 나쁘지 않다. 버튼 문제는 화면 이동이 없는 버튼 일때 인데 여기서 화면 이동이 없다는 말은 url의 변경이 없다는 뜻이다 즉, ajax통신 또는 새로고침, 네비게이터 메뉴 등을 사용할 때 이다. 대학교에서 수업이나 과제 따위를 할때는 화면이동이 없어도 어쨋든 버튼이기때문에 버튼 위에 손모양이 보여야 하고 그래서 이런식으로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웹 페이지에서 Alert, Confirm과 같이 경고창을 띄워야 할 상황이 왕왕 있다. Javascript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alert이나 confirm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modal 창을 이용해 조금 더 세련된 웹 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 다양한 modal ui 가있지만 그중에서도 SweetAlert에 대해 얘기하려고 한다. 구글에 SweetAlert이라고 검색하면 홈페이지에 들어갈 수 있다. 기존의 alert과 sweetAlert를 이용한 경고창을 비교해볼 수 있고, 아래의 Get started 버튼이나 상단의 Guides메뉴를 클릭해 사용법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먼저 어떠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려면 라이브러리 파일을 import 해줘야 한다. jquery를 사용할 때 jquery-1.12.4..